🎯1단계: 탐구 준비 및 설계
흥미를 바탕으로 주제를 정하고, 체계적인 계획과 이론 학습을 통해 탐구의 기틀을 마련합니다.
- 주제 선정: 관심 분야에서 탐구 질문 구체화.
예: '미세먼지 농도 예측 모델의 조건부확률 분석: 기상 요인과의 연관성 탐구'와 같이 미세먼지 농도와 기상 요인 간의 확률적 관계를 주제로 탐구할 수 있습니다. - 계획 수립: SMART 원칙으로 실현 가능한 탐구 계획 및 일정 관리.
- 이론 학습: 주제 관련 핵심 개념 및 이론 학습.
예: 확률과 통계 교과의 조건부확률 ( ), 확률의 곱셈정리 ( ), 독립 사건 개념을 학습합니다. 지구과학 관련해서는 미세먼지 발생 원인, 기상 조건(풍속, 습도, 강수량, 기온 등)이 미세먼지 이동 및 확산에 미치는 영향 등을 학습합니다. - 방법 설계: 문헌 연구, 데이터 수집, 통계적 분석 등 적절한 방법 선택.
예: 기상청 '날씨누리' 및 에어코리아 '대기환경정보'에서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(PM10, PM2.5)와 관련 기상 데이터(풍속, 습도, 강수량 등)를 수집하고, 특정 기상 조건(예: 풍속 1m/s 이하)일 때 미세먼지 농도가 '나쁨' 이상일 확률을 조건부확률로 계산하는 계획을 수립합니다. - 보고서 구조 구상: 서론-본론(이론, 방법, 결과, 논의)-결론 목차 사전 구성.
교과 연계: 확률과 통계(조건부확률, 확률의 곱셈정리), 지구과학(기상 현상, 대기 오염) 등 교과 내용을 연계하여 탐구의 깊이를 더합니다.
꿀팁 ✨ 좋은 주제는 호기심 자극, 지식 활용, 실현 가능성이 중요합니다.
체크 📌 계획은 구체적으로, 방법은 신뢰성 있게! 데이터 수집 출처를 명확히 하고, 분석 방법에 대한 가정을 명시하세요.